subvisual


 


강병규 교수

 

Email      kbg43@sogang.ac.kr


연구실      J1110


TEL         02-705-4787


전공분야   현대중국어문법, 코퍼스언어학, 자연어처리


홈페이지   바로가기(Click)


연구분야 및 실적
 
경력

  • 2006 ~ 2007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후 연구원

  • 2007 ~ 2008 고려대학교 중일언어문화사업단(BK21) 연구교수

  • 2008 ~ 2012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과 조교수

  • 2012 ~ 현재 서강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


학회활동 및 기타

  • 한국중국언어학회 총무이사(2007년 ~ 2009년)

  • 한국중국학회 총무이사(2013년 ~ 2015년)

  • 한국중국어문학회 총무이사(2020년 ~ 2021년)

  • 중국어 교육학회 부회장(2020년 ~ 2022년)

  • 서강대학교 언어정보 연구소 소장(2025년 ~ )


주요논문

2025년

  • Barrie, M., Yoo, I. W., & Kang, B.(2025). 『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unterparts of where in Korean, Mandarin Chinese, and Eastern Tamang: M. Barrie et al.』.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, 1-16.

  • 이명월, & 강병규. (2025). 『현대중국어 '一下'와 '一个'의 동량사 용법에 대한 실험언어학적 연구』. 중어중문학, 100, 249-278.

  • 최승혁, & 강병규. (2025). 『법률 도메인 특화 기계번역의 번역 품질 개선 분석 – 계약서 중한 번역을 실례로 –』. T&I REVIEW, 15(1), 89-108.

  • 임수경, & 강병규. (2025). 『텍스트 빅데이터 처리를 위한 정규표현식의 이해와 활용』. 중국어문학논집, 151, 91-130.


2024년

  • 강병규, & 양류. (2024). 『중국의 생성형 AI의 HSK 독해 능력 고찰 — ERNIE Bot4.0(文心一言)을 중심으로 —』. 중국어교육과 연구, 44, 357-392.

  • 박정구, 강병규, 박민준, & 유수경. (2024). 『문두 다중논항 구문의 수용성 제고에 관한 정보구조적 고찰』. 중국언어연구, 114, 203-243.

  • 강병규. (2024). 『딥러닝을 활용한 중국어 방향보어의 의미 추론 연구』. 중국언어연구, 112, 55-90.

  • 박정희, & 강병규. (2024). 『챗GPT에 기반한 중국문학작품 번역 방법론 탐구』. 중국문학, 119, 169-200.

  • 강병규, 박정구, 유수경, & 박민준. (2024). 『XAI 기반의 중국어 문두 다중논항 어순 해석 모델 연구』. 중국언어연구, 111, 109-146.

  • 박정구, 유수경, 박민준, & 강병규. (2024). 『신경망 언어 모델 구축을 통한 중국어 문두 다중논항 어순 수용성 예측 연구』. 중국문학, 118, 161-189.


2023년

  • 박정구, 강병규, 박민준, & 유수경. (2023). 『어순 수용성 데이터 기반의 중국어 문두 다중논항 의미역 배열 기제 및 위계 연구』. 중국언어연구, 109, 127-178.

  • 강병규, & 손민정. (2023). 『2022 개정 중국어 교육과정의 기본어휘 고찰』. 중국언어연구, 108, 309-346.

  • 강병규, & 최승혁. (2023). 『N-gram을 활용한 중국 법률 텍스트의 정형 표현 분석 – 중국 민법전을 중심으로』. 중국어문학지, 84, 437-465.

  • 강병규, 박정구, 유수경, & 박민준. (2023). 『말뭉치 기반 중국어 문두 다중논항의 의미역 배열 경향성 고찰』. 중국언어연구, 106, 63-104.

  • Kang, B., & Yu, S. (2023). 『Building a Semantically Annotated Corpus of Chinese Directional Complements』. In Workshop on Chinese Lexical Semantics (pp. 43-57). Cham: Springer Nature Switzerland.

  • 강병규, & 유수경. (2023). 『중국어 '把'구문 습득에 관한 실험통사론적 연구』. 중국언어연구, 104, 97-132.


2022년

  • Jeong, Y. H., Li, M. Y., Kang, S. M., Eum, Y. K., & Kang, B. K. (2022). 『Automatic Prediction and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Chinese Directional Complements Based on BERT Model』. In Workshop on Chinese Lexical Semantics (pp. 405-416). Cham: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.

  • 강병규, & 박민준. (2022). 『중국어 자연어처리 연구 현황과 발전 추세』. 언어와 정보 사회, 45, 193-231.


2020년

  • 강병규. (2020). 『딥러닝 언어모델과 중국어 문법—BERT를 활용한 방향보어의 예측 모형을 중심으로』. 중국문학, 106, 29-57.

  • 강병규. (2020). 『코퍼스 분석 도구를 이용한 중국어 교재 텍스트의 어휘와 정형 표현 분석』. 중국어문학, 83, 295-344.

  • 박정구, 강병규, & 유수경. (2020). 『중국어 방언의 완정상․완료상․완성상 표지의 분포와 그의 언어유형론적 함의』. 중국언어연구, 87, 219-258.


2019년

  • 강병규. (2019). 『AI의 중국 古典詩歌 창작 —詩語의 학습과 생성』. 중국문학, 100, 183-208.

  • 박민준, & 강병규. (2019). 『중국어 구문분석기의 작동 원리와 응용 사례 - Cparser를 중심으로』. 중국언어연구, 82, 233-266.

  • 박정구, 유수경, & 강병규. (2019). 『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중국어 방언의 결과상/진행상표지의 변이 유형과 발전 기제 -동사에 후행하는 '着'류와 '在'류 형식을 중심으로』. 중어중문학, 75, 87-114.


2018년

  • 강병규, 박정구, & 유수경. (2018). 『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중국어 방언의 진행상 표지의 변이 유형과 발전 기제-동사에 선행하는 '在'류 형식을 중심으로』. 중어중문학, 74, 53-82.

  • 강병규, & 이지은. (2018). 『신경망 기계번역의 작동 원리와 번역의 정확률- 중한 번역을 실례로』. 중어중문학, 73, 253-295.

  • 강병규, & 문유미. (2018). 『코퍼스를 활용한 중국어 유의어 분석 방법론 試探— 유의어 '産生', '發生'을 중심으로』. 중국어교육과 연구, 27, 83-106.


2017년

  • 박정구, 강병규, & 유수경. (2017). 『언어유형론적 관점에 입각한 기점 표시 부치사의 의미지도 연구 - 중국어 방언 분석을 중심으로』. 중국언어연구, 71, 109-158.

  • 강병규. (2017). 『신문 빅데이터를 통한 신중국 60년 시기의어휘 사용 양상 고찰-≪인민일보≫를 중심으로』. 인문과학연구논총, 38(1), 179-207.


2016년

  • 강병규, & 손민정. (2016). 『2015 개정 중국어 교육과정의 기본어휘 선정 및 활용』. 중국언어연구, 63, 273-316.

  • 강병규. (2016). 『중국어 코퍼스에 기초한 'XP的話', 'XP的時候'의 문법화 과정 고찰』. 언어와 정보 사회, 27, 1-34.


2015년

  • 강병규. (2015). 『중국어와 동아시아 언어의 어순 유형』. 중국언어연구, 61, 119-145.

  • 이지은, & 강병규. (2015). 『중국 객가(客家) 방언과 감(贛) 방언의 분리와 통합-군집분석과 다차원 척도법을 중심으로』. 중국언어연구, 59, 223-251.

  • 강병규. (2015). 『현대중국어 좌향전이 이중타동구문의논항 실현 양상 고찰』. 언어와 정보 사회, 24, 17-48.


2014년

  • 이지은, & 강병규. (2014). 『통계적 분석 방법을 통해 본 중국어 방언 분류 – 음운·형태·어법 자질을 중심으로』. 중국언어연구, 54, 255-286.

  • 강병규. (2014). 『중국의 공공 용어 정책 부서와 법률』. 새국어생활, 24.

  • Paek, E., Kang, B., Ryu, D., Synn, A., Park, J., & Dang, Y.(2014). 『Diachronic Development of the Chinese Negative 沒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』. 중어중문학, 58, 183-222.

  • 박정구, & 강병규. (2014). 『중국어의 이동타동구문과 'V+P{給&與}+OR+OT' 구문』. 언어와 정보 사회, 21, 113-134.


2013년

  • 강병규. (2013). 『구문문법이론에 기초한 중국어 동사와 논항 실현 양상 고찰—이중타동구문을 중심으로』. 중국문학, 75, 217-254.

  • 강병규. (2013). 『중국어 코퍼스 분석을 위한 검색 프로그램 비교 고찰 -WordSmith Tools 6.0과 AntConc 3.2.4를 중심으로』. 중국언어연구, 44, 139-171.

  • 강병규. (2013). 『중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적 연어의 형성과정 고찰』. 제33회 중국어문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: 중국어문교육의 효과적인 교수방안 탐색, 중국어문학회.

  • 백은희, 강병규, 류동춘, 박정구, 신아사, & 당윤희. (2013). 『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부정사 '沒'의 통시적 발전 기제』. 중국언어연구, 44, 73-101.


2012년

  • 강병규. (2012). 『否定形態素 複合語(Negative+X)의 語彙化 과정에 대한 統計적 검증 방법 연구』. 중국학보, 66, 1-28.

  • 강병규. (2012). 『中-韓 四字成語의 사용빈도와 통사적 기능 비교 연구』. 중국어문논총, 54, 87-120.

  • 박정구, 강병규, 류동춘, 백은희, & 신아사. (2012). 『통시적 관점에서 본 부정사 '沒'의 탄생과 발전 기제』. 2012년도 한중수교 20주년기념 한국중어중문학회 연합국제학술대회 논문집. 한국중어중문학회.


2011년

  • 강병규. (2011). 『중국어 명사구 어순에 대한 언어 유형론적인 고찰』. 중국문학, 69, 175-207.

  • 강병규. (2011). 『현대중국어 미완료상 표지 '在'와 '着'의 동사 결합 관계 양상 고찰』. 중어중문학, 48, 341-374.


2009년

  • 강병규. (2009). 『중등학교 중국어과 임용시험 개선안에 대한 설문 조사 분석』. 중국언어연구, 30, 507-538.

  • 강병규. (2009). 『현대중국어 기본어휘의 연어 관계 연구 방법론 탐구 -'얻다'류 동사를 중심으로』. 중국언어연구, 29, 121-157.

  • 강병규. (2009). 『중국문학 텍스트 번역을 위한 상용구 자동 추출과 언어학적인 고찰』. 중국어문논역총간, 25, 169-199.

  • 강병규. (2009). 『중한 번역에 있어서 인간과 컴퓨터의 조화』. 중국문학, 58, 255-285.


2008년

  • 강병규. (2008). 『말뭉치에 기초한 현대중국어 '一起'의 통사적 분포와 의미 분석』. 중국언어연구, 26, 13-51.


2007년

  • 강병규. (2007). 『통합형 언어 데이터베이스 《현대중국어문법정보사전》의 구축과 활용』. 중국어문학논집, 46, 191-218.

  • 강병규. (2007). 『한-중-일-영 다국어 어휘 의미망 구축의 이론과 실제』. 중국어문논총, 33, 107-132.

  • 강병규. (2007). 『중국어 언어자료-말뭉치 구축 현황과 활용 방법고찰』. 중국어문논총, 35, 49-76.


2006년

  • 강병규. (2006). 『학술 언어의 은유 현상과 중-한 번역(学术语言的隐喻现象以及汉韩翻译)』. 중국문학, 49, 309-334.

  • 강병규. (2006). 『말뭉치에 기초한 중국어 연어(搭配) 연구 방법 고찰』. 중국어문학논집, 41, 243-269.

  • 강병규, 심이영, & 상보보(2006). 『Computer Aided Translation of Chinese Technical Terms into Korean』. 중국언어연구, 23, 141-167.



국제학술대회

2023년
  • 강병규(2023), The Acquisition of Chinese ba-construction, CLSW 2023, 싱가포르

2022년
  • 강병규(2022), 딥러닝 기반의 중국어 방향보어 의미 추론 모델 연구, 한국중어중문학회, 한국
  • 강병규(2022), 외국어 학습자의 구문 습득에 관한 실험통사론적 연구, 한국어학회, 한국
  • 강병규(2022), Building a Semantically Annotated corpus of Chinese Directional Complements, CLSW 2022, 중국

2021년
  • 강병규(2021), 중국어 어휘 의미망 구축과 활용, 단국대, 한국
  • 강병규(2021), Automatic Prediction and Linguistic Interpretation of Chinese Directional Complements Based on BERT Model, CLSW 2021, 중국

2020년
  • 강병규(2020), 딥러닝 언어 모델과 중국어 문법, 한국중국어문학회, 한국

2019년
  • 박정구·유수경·강병규(2019), 汉语方言完整体和完成体的分布类型及语言类型学上的含义, PROCEEDINGS OF THE 4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LANGUAGE TYPOLOGY, INSTITUTE OF LINGUISTICS,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EDITORIAL OFFICE OF STUDIES OF CHINA


2018년

  • 병규·박정구·유수경(2018), 表"进行"和"持续"的体标记在汉语方言中的分布类型及其发展机制, PROCEEDINGS OF IACL-26, THE UNIVERSITY OF WISCONSIN-MADISON

2016년
  • 강병규(2016), 韓-漢敘事語篇中的過去事件描述方式對比-以所謂曆史現在時用法爲例, THE IACL 24 PROCEEDINGS IN BEIJING

2014년
  • 강병규·이지은(2014), 중국어방언분류의 새로운 탐색(漢語方言分區的新探索), IACL22-NACCL26 PROCEEDINGS, MARYLAND UNIVERSITY

2013년
  • 강병규·이지은(2013), 漢語方言的語序類型(중국어 방언의 어순 유형에 대한 통계적 분석 방법), THE PROCEEDINGS ON THE 1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LINGUISTIC TYPOLOGY, 중국사회과학원언어연구소外

2012년
  • 羅鳳珠·王雷·砂岡和子·강병규·俞士汶·常寶寶(2012), 分階多語成語典故知識庫教學設計, PROCEEDINGS OF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F ASSOCIATION OF TEACHING CHINESE AS A SECOND LANGUAGE, ASSOCIATION OF TEACHING CHINESE AS A SECOND LANGUAGE

2007년
  • 姜柄圭, 张秦龙, 谌贻荣, 常宝宝(2007). Chinese Multi-word Chunks Extraction for Computer Aided Translation(面向机器辅助翻译的汉语语块自动抽取研究), 중문信息学报 Vol.21 No.1, 중문信息学회.

2005년
  • Byeong-Kwu Kang, Bao-Bao Chang, Yi-Rong Chen, and Shi-Wen Yu(2005), Extracting Terminologically Relevant Collocations in the Translation of Chinese Monograph, LNCS, Vol. 3651. Natural Language Processing-IJCNLP 2005, Springer-Verlag.

저역서

  • 『Explain Me This』 (2024, 학고방)

  • 『코퍼스를 활용한 중국어연구』 (2020, 한국문화사)

  • 『중국어 어순의 지리적 변이와 유형학적인 의미』 (2018, 역락)

  • 『구문화와 구문변화』 (2018, 학고방)

  • 『(R을 이용한) 코퍼스 언어학 연구 : 한국어, 영어, 중국어 시제와 상 연구를 중심으로』 (2017, 역락)

  • 『언어 현상과 언어학적 분석』 (2015, 역락)